TCFD 2

ESG/ 녹색금융/ 기후금융의 기준과 지표 이니셔티브 - ISSB/ TCFD/ IIRC/ GRI/ SASB/ WEF/ IBC/ CDP

이번 피드에서는 녹색금융, 기후금융, 탄소금융, ESG 경영 등 기업의 친환경적인 행보와 금융적 수단이 조합된 것들의 핵심적인 요소인 '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근래 ESG 경영, 녹색금융, 기후금융 등의 키워드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도대체 '무엇이 ESG 경영이고 녹색금융인가' 하는 아젠다도 많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녹색금융이라는 개념이 2010년대 이후로 새롭게 등장하게 되면서 나타난 현상인데요, 새롭게 등장한 개념이기 때문에 통일된 기준이나 지표가 부재하여 이와 같은 용어들이 여기저기서 쓰이고 있습니다. 때문에, 국제적으로 녹색금융과 ESG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지표를 만드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이러한 노력의 과정으로써 다수의 글로벌 기관들이 각기 다른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탄소금융 2023.12.07

기후관련 투자 지표 TCFD의 모든 것! 기후관련 투자자들이 반드시 알아야할 정보! ( +TCFD 국문버전 PDF 첨부 / TCFD 국내동향)

TCFD 간략 개요/ 히스토리 (1) 개요 TCFD는 Task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의 약자로 글로벌 기후변화 관련 재무공시 TF입니다. 이 TF에서는 기업이 기후변화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어떤 강점과 약점을 갖고 있는지 등을 정량적이고 체계적으로 공시할 것을 권고하면서, 글로벌 기업증이 투자자들에게 보다 나은 정보를 제공하고, 기업의 기후변화 관련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지속적으로 발간하고 있는데요, 이 TF에서 발간한 권고안인 TCFD 가이드라인은, 기후변화와 관련한 물리적인 리스크(예를들면 이상기온에 따른 기업 생산량 변화)와 비물리적인 리스크(기후변화 관련 정책, 규제에 따른 기업 경영 영향)에 따른 기업의 영..